본문 바로가기

▶ 암/유암종

췌장신경내분비종양 D136, D377 보험금 진실을 밝히다

 

췌장신경내분비종양 D136, D377  보험금 진실을 밝히다

 

 

 

안녕하세요. 보상마스터즈입니다.
살다보면 본인도 모르는사이에
건강이 나빠져 정기적으로 받는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 중 췌장신경내분비종양
경우 보험금 지급률이 어떻게 되는지
이로인한 갈등은 없는지에 대해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이란?
유암종이라 불리기도 하는
신경내분비종양은 호흡기나
위장관에서 볼 수 있는 황갈색을 띤
종양으로 점막하에서 근층에 걸쳐
발생하게 됩니다. 세포는 크롬친화성이며
은에 잘 물이 들고 지질과 황색색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췌장내분비종양이란?
췌장 섬세포에서 기원한 종양으로
췌장 섬세포종양은 양성 혹은 악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능성 췌장 내분비종양은
호르몬이 과다하게 생산되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게 되며, 비기능성 췌장 내분비종양은
호르몬을 추가적으로 생산하지는 않지만
종양이 성장함에 따라 추후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췌장신경내분비종양 질병분류코드
주치의마다 다르기 때문에
D136 양성코드가 부여되기도 하고,
D377 경계성종양 코드가 부여되기도 합니다.

만약 양성코드로 부여가 되었다면
아무런 췌장신경내분비종양 보험금
청구시 아무런 보상을 받을 수 없고
경계성종양이라면 가입금액의
10~20%는 받아볼 수 있습니다.

 

 

 

보험금 갈등원인
췌장신경내분비종양이 크기가 
작다면 큰 우려가 되지 않지만
너무 늦게 발견되어 다발성 전이가 된
경우도 있습니다.

더불어 C259 악성코드를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병리학적 확정진단과 달라
갈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의학적 지식이 뒷받침되는
입증자료가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일반인 혼자서는 힘듭니다.

그래서 보상마스터즈에서는
췌장신경내분비종양 보험금 문제로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을 위해
무료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문의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