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뇌종양 보상, 암보험금도 포함될까? |
뇌종양은 암일 확률이 높은 종류가 있고 그렇지 않은 종류가 있는데, 암이 아닌 종양을 일러 <양성>이라 부릅니다. 암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조직검사 결과를 토대로 하고 있는데요,
뇌하수체선종, 두개인두종, 뇌수막종, 상의세포종, 송과체종양, 청신경초종, 시신경교종, 신경섬유종, 혈관종 등이 주로 양성뇌종양에 속합니다. 이들은 보험의 어떤 특약에서 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
가장 기본적인 보상은 실비 보험금을 거론 할 수 있습니다. 양성뇌종양의 진단에서 치료까지 지출된 병원비를 가입한 특약의 보상 기준에 따라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실비 보험금은 약관에 규정된 보상되지 않는 질병코드 외의 질병은 모두 보상하므로 양성뇌종양을 보상 받는데 별 어려움이 없습니다.
단, 보험사에서 고지의무위반을 문제 삼을 시에는 미고지한 병력과 양성뇌종양 간에 인과관계가 없음을 입증하여야 하고, 2009년 4월 이전 보험상품 중 선천성질환을 보장하지 않는 상품에서는 해면상혈관종 등은 선천성질환으로 보아 면책을 주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번째, 양성뇌종양으로 인해 수술 또는 입원을 하였다면 수술의 종류에 따라 수술비를 지급하는 특약도 있고, 입원 일수에 따라 입원일당을 보상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보험상품에는 양성뇌종양 진단비라는 특약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러나 위 보상 가능 특약들을 모두 종합해 보아도 암보험금에 비교하자면 그리 큰 보장이라 할 수 없습니다. 양성뇌종양은 암이 아니므로 진정 암보험금을 보상 받을 수 없는걸까요?
질병분류번호의 불일치, 조직검사 결과의 불일치를 근거로 보험사에서는 양성뇌종양을 암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실은 구체적인 발생 위치, 크기, 행동양식, 치료법, 증상, 예후 등에 따라 암보험금을 보상 받을 수 있는 케이스도 존재합니다.
다른 신체 부위라면 암이 양성종양보다 위험도가 월등히 높지만 뇌종양은 뇌를 압박하는 경우 양성종양도 암에 필적하는 위험도를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뇌종양이 뇌출혈을 동반한 경우에는 뇌출혈 진단비 보상도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뇌출혈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진단이 뇌종양에 포함 될 수도, 뇌출혈로 따로 인정 할 수도 있으므로 케이스별로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양성뇌종양에는 다양한 보상 루트가 있지만 보험사에만 심사를 맡겨서는 실손 보험금 외에 다른 보험금은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검토해 주지 않습니다. 소비자 측에서 보상에 대한 의학적, 질병분류체계적, 약관해석적 근거를 마련하여 보험사를 설득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보상 전문가를 통한 진행이 필요합니다.
각 사례별 보상 가능성과 절차는 보상마스터즈로 문의 주시면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암 > 척추/척수/뇌종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뇌종양과 암보상 (0) | 2014.08.19 |
---|---|
양성 척수종양도 암보상 가능성 있다! (1) | 2014.08.07 |
편파적 보상에 시름하는 두개인두종 (0) | 201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