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암진단비 제대로 보상받자
병기에 따른 암보험금 지급률
오늘 보상마스터즈에서는 대장암 암진단비 보상 분쟁의 원인 및 해결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우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암의 병기란 쉽게 말해 '종양의 침윤 정도'에 따른 분류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장은 대장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점막 - 점막하층 - 근육층 - 장막하조직 - 장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의 상피세포에서부터 암종양이 발생하고 종양의 발생위치에 따라 결장암, 직장암 등으로 분류합니다.
대장암의 병기 : T1 : 1기, 암세포가 점막 고유층까지 침윤하였으나 점막하층까지는 도달하지 못한 상태 T2 : 2기, 암세포가 근육층까지만 침윤한 상태 T3 : 3기, 암세포가 근육층을 뚫고 장막하조직까지 침윤한 상태 T4 : 4기, 암세초가 장막하조직을 뚫고 주위 조직으로까지 침윤한 상태 |
대장암의 병기에 따른 암보험금 지급률 :
일반적으로 개인보험의 암진단비 약관에서는 갑상선암, 기타피부암, 경계성종양, 제자리암과 같은 소액암을 제외한 대장암, 결장암 등 일반암으로 진단받은 경우, 암진단비 100% 전액을 지급합니다.
하지만 상피내암으로 진단받은 경우 약관에 따라 암진단비는 전체 약정 금액의 약 20% 가량이 지급되는데요, 상피내암은 암세포가 상피층에는 존재하지만 점막고유층까지는 도달하지 않은 상태, 즉 병기로 따지자면 0기에 해당하고 0기 상태의 종양은 상대적으로 치료가 쉽고 회복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대장 상피내암 암진단비 보상 분쟁 원인
상피내암이 병기로 치자면 0기에 해당한다고 앞서 말씀드렸습니다. 문제는 대장암 1기에 해당하는 병기의 경우 보험사측이 이를 상피내암과 동일한 병기로 취급하여 암진단비를 삭감지급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는 점인데요, 점막내암(1기)과 상피내암(0기)는 엄연히 다른 병기이지만 보험사측은 점막내암과 상피내암이 동일한 질병분류코드로 부여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보험금을 과소지급하고 있어 잦은 분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만약 보험사측으로부터 이와같은 사유들로 암진단비 과소 지급받으셨거나 향후 청구 예정에 있으신 분들이라면 지금 바로 아래의 보상마스터즈 무료 온라인 상담창으로 간략한 내용 보내주시고 보상전문가에게 추가 암진단비 보상 가능성에 대한 무료 검토와 보험금 청구 절차 등에 대한 안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암 > 대장(직장,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 제자리암 vs 상피내암 암보험금 보상 (0) | 2017.09.21 |
---|---|
대장점막내암 암진단비 전액 보상받을 수 있는 방법은? (0) | 2016.11.17 |
대장암 암진단비 제대로 보상받자! (0) | 201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