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장애/후유장해/근육/관절/뼈

주상골 골절 장해 보상 제대로 받으셨나요?.

주상골 골절 후유장해 보상 분쟁

주상골 골절 장해 보상 제대로 받으려면?

 

신체 부위에 골절상을 입으면 단순히 뼈의 부상만이 아닌 주변 관절에까지 영향을 미쳐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을 주기도하는데요 주상골이라는 부위는 손목 중 엄지쪽에 위치하고있는 수근골 중 하나로 주상골에 골절 부상을 입을 시 손목 관절 전체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반드시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만약 주상골 골절 부상을 입고 충분한 치료 후에도 손목 관절의 운동 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개인보험 중 '후유장해 특약'으로부터 후유장해 보험금 지급의 가능성을 검토해봐야합니다.

 

주상골 골절 후유장해 보험금 청구 방법 및 지급 기준 :

1. 사고 발생 후 6개월이 지났고 치료 후에도 손목 관절의 움직임이 원래의 기능을 회복하지 못한 경우

2. 병의원에서 후유장해 검사를 통해 AMA 방식의 후유장해 진단 후 진단서를 보험사에 제출해야합니다.

3. 이때 장해는 영구적인 장해를 말하고 한시 장해의 경우 장해가 5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진단이 있을 경우 해당 장해 지급률의 20%가 지급됩니다.

 

 

 

주상골 골절 후유장해의 종류 및 지급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해의 종류

지급률

1) 두 팔의 손목 이상을 잃었을 때

100%

2) 한 팔의 손목 이상을 잃었을 때

60%

3) 한 팔의 3대 관절 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 완전 강직(관절굳음) 또는 인공관절이나 인공골두를 삽입한 경우

 - 근전도 검사상 완전 마비 소견이있고 근력검사에서 근력이 '0등급(zero)'인 경우

30%

4) 한 팔의 3대 관절 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해당 관절의 운동 범위 합계갖 ㅓㅇ상운동 범위의 1/4 이하로 제한된 경우

 - 근전도 검사상 심한 마비 소견이있고 근력검사에서 근력이 '1등급(Trace)'인 경우

20%

5) 한 팔의 3대 관절 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해당 관절의 운동 범위 합계가 운동 범위의 1/2 이하로 제한된 경우

10%

6) 한 팔의 3대 관절 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해당 관절의 운동 범위 합계가 정상 운동 범위의 3/4 이하로 제한된 경우

5%

 

 

 

주상골 골절 후유장해 진단서를 보험사에 제출한 뒤에도 보험사로부터 제대로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들이 자주 발생하고있습니다. 보험사측은 해당 장해율을 인정하지 않고 자체 협력 의료기관에서 재자문을 구해 보험금을 삭감지급하려하거나 후유장해 발생의 원인이나 발생 시기 등을 근거로 보험금 지급을 거절하는 사례까지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공정한 주상골 골절 후유장해 보상을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인 검토 및 준비를 통해 보험사를 상대하여햐하는데요 보상마스터즈에서 도와드리겠습니다. 주상골 골절 후유장해 보험금 보상! 보상마스터즈에서 무료 상담 및 검토받으세요.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