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장애/후유장해/감각장해/상실

뇌손상으로 인한 실어증 후유장해 보상받으세요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실어증 후유장해 보상

실어증 후유장해 보상 기준은?


질병·상해를 입고 충분한 치료를 하였음에도 상태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장해가 지속될 경우 받을 수 있는 보험금으로 '후유장해 보험금'이 있습니다. 후유장해에서는 눈, 귀, 코, 씹어 먹거나 말하는 기능, 외모 등을 포함한 13개 부위를 보상하고 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실어증인 '말하는 기능의 장해 지급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 말하는 기능의 장해 지급률 ◆


장해의 분류 

지급률 

 1)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 씹어먹는 기능 또는 말하는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3)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4) 씹어먹는 기능 또는 말하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5)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6) 씹어먹는 기능 또는 말하는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말하는 기능의 장해(실어증) 평가기준!

 - '말하는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란 아래의 4종의 어음 중 3종 이상의 발음이 불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① 구순음(ㅁ,ㅂ,ㅍ)

 ② 치설음(ㄴ,ㄷ,ㄹ)

 ③구개음(ㄱ,ㅈ,ㅊ)

 ④후두음(ㅇ,ㅈ)


 - '말하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란 위 4종의 어음 중 2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하고,


 - '말하는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위 4종의 어음 중 1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 따라서 뇌의 언어중추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실어증도 말하는 기능의 장해에 해당한다.








뇌손상으로 인한 실어증은 약관에 따라 '말하는 기능의 장해'에 해당되므로 후유장해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입하신 보험 상품 및 시기에 따라 내용은 조금씩 상이할 수 있으니 정확한 보상 기준은 가입한 보험 상품의 약관을 참조하시는 것이 좋고 실어증 발생의 원인이 질병인지 상해인지에 따라서도 후유장해 보상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보험사에 보험금 청구 전 보상전문가를 통해 전문적인 검토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후유장해 보상의 경우 질병인지 상해인지, 영구장애인지 한시장애인지 등에 따라서 다양한 변수가 발생 가능하고 어떻게 장해진단을 받는지에 따라서도 보상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보상마스터즈에서는 소비자분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실어증 후유장해 보상 받으실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무료 상담을 도와드리고 있으니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주저없이 상담신청주시고 해결책 찾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