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후유장해 보험금 보상에 대해서
《보험에서 말하는 후유장해란?》 상해를 치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일부를 잃었거나 신체에 잔존하는 영구적인 정신 또는 육체적 기능상실 상태를 말합니다. 피보험자 또는 피해자가 사고로 인해 상해를 입고 그 직접적인 결과로써 신체의 일부를 잃거나 신체기능에 영구적으로 장해가 남는 경우에 지급되는 보험금을 후유장해 보험금이라 하며, 한시적인 후유장해인 경우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후유장해의 종류》로는 눈, 귀, 코, 씹거나 말하는 기능, 얼굴/머리/목, 등뼈, 팔/다리, 발(가락), 훙복부장기, 정신/신경계통의 장해가 있고 후유장해 특약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이상(以上) 부위에 대한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귀의 장해 |
지급률 |
1)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 한 귀의 청력이 귀에다 대고 말하지 않고는 큰 소리를 알아듣지 못할 때 4) 한 귀의 청력이 50cm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할 때 5)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때 |
80% 30% 20% 5% 10% |
*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이라 함은 귓바퀴의 열고부의 1/2 이상 결손된 경우를 말합니다.
* 가입하신 보험 상품에 따라 내용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위 지급표에 따르면 만약 후유장해 보험 특약 1억원에 가입되어 있고,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에 해당할 경우 : 1억원 X 지급률 30% = 3천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청각장애 후유장해 보험금 보상은 귀의 장해 발생 원인이 상해냐 질병이냐, 영구적인지 한시적인지, 가입되어 있는 특약에 내용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본인이 정확히 어떤 보험 상품에 가입되어 있는지 그 내용을 꼼꼼히 따져봐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후유장해 보험금은 보상되는 금액이 큰 만큼 보험사측의 보상 지급 기준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보험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험사로부터 후유장해 보험금 부지급 통보를 받으셨거나 과소 지급 받으셨다면 망설이지 마시고 저희 보상마스터즈로 연락주시어 보험금 보상 가능성이 있는지, 추가 보상 가능여부에 대해 무료로 검토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손해사정 상담신청
form.office.naver.com
'▶ 장애/후유장해 > 감각장해/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각장애와 후유장해 보험금 보상 (0) | 2016.12.09 |
---|---|
반신마비 보험금 청구는 어떻게? (0) | 2016.01.15 |
코의 후각상실로 인한 후유장해 보험금 보상은? (0) | 201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