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척추/척수/뇌종양 뇌하수체종양 D35.2 암 진단비 효율성있게 받아보기 보상마스터즈 2022. 9. 2. 16:45 뇌하수체종양 D35.2 암 진단비 효율성있게 받아보기 안녕하세요. 보상마스터즈입니다. 뇌하수체 종양, 생소한 종양이라 많은 분들이 진단을 받고 어리둥절해 하실겁니다. 아무래도 뇌이다보니 걱정도 많으실겁니다. 이럴때를 대비하여 들어둔 보험인데 막상 뇌하수체종양 암진단비를 청구하니 제대로 지급이 되지 않는다면 오늘 이 포스팅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뇌하수체는 상부에 있는 시상하부와 연결되어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 및 조절에 관여하는 기관입니다. 말안장과 같이 생긴 터어키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뇌하수체종양은 전체 두개강 내 종양의 10~15%를 차지합니다. 대부분 양성종양이며, 악성종양은 매우 드문 편입니다. 더불어 뇌전이암 혹은 말안장 부위의 뼈를 침범하는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뇌하수체를 침범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KCD 8차 규정에 의하면 D35.2는 기타 및 상세불명의 내분비선의 양성신생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보험약관상 양성신생물은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합니다. 악성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C75.1로 진단을 받거나 변경이 되어야 하는데 쉬운일이 아니기 때문에 병리학적으로 마땅한 소견이 뒷받침되어야만 가능합니다. 반면 뇌하수체종양의 진단을 D44.3 이라는 코드가 부여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는 경계성종양이기 때문에 뇌하수체종양 암진단비 청구시 가입금액의 10~20%만 지급이 됩니다. 그렇다면 뇌하수체종양 암진단비를 제대로 받아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만약 종양을 제거했다면 신경학적 결손이 남을 수도 있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임상학적으로 악성암으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면 주치의 소견 및 유사 판례를 통해 주장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검사를 통해 남아있는 종양이 있거나 재발했다면 법률적, 의학적 근거에 따라 입증한다면 일반암으로 받아볼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것을 다 준비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문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 혼자서는 준비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상마스터즈에서는 뇌하수체종양 암진단비를 제대로 받아보실 수 있도록 성심성의껏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문의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